입주자점검 의뢰
2020년 8월 1일부터 입주를 시작하는 새아파트 입주자점검 의뢰를 받았습니다. 의뢰인 부부와 함께 입주하게 되는 세대에서 하자를 찾아야하는 것이죠. 해당 아파트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공개하는 점에 대해서 의뢰인에게 동의를 구했습니다. 현대산업개발이 시공한 사가정 센트럴아이파크이고요, 의뢰인은 30평형대 세대로 입주합니다. 제 점검 방법은 얼마전에 올린 포스팅 '계약만료 시설점검'에서 했던 방식과 별로 다르지 않게 점검합니다.
1. 배수구
화장실 2개, 세탁실, 다양도실의 배수구 트랩을 모두 땄습니다. 배수구에 건설 폐기물이 짱박혀 있어 물이 원활히 빠지는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자라고는 할 수 없지만 배수구에 하나도 빠짐없이 건설폐기물이 있으니 이 부분은 꼭 청소 요청을 해야한다고 의뢰인에게 알렸습니다. 그리고 화장실 전체에 물을 뿌려 물이 배수구 방향으로 향하는지 확인했습니다.
2.수전 관련
세면대, 좌변기의 호스가 수도관과 잘 연결되었는지 누수는 없는지 물을 계속 틀며 확인했습니다. 이상 없었습니다.
싱크대에서는 물이 안나왔는데 의뢰인이 입주자까페에서 알아본 결과 물이 안나오는 세대가 있고, 어떤 세대는 물이 나온다고 커뮤니티에 글이 올라온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하부장을 열여 살펴보니 직수-온수관 벨브가 잠겨있었습니다. 벨브를 열어 물을 틀어도 물이 나오지 않더군요. 싱크대에 물이 나오는 동과 안나오는 동이 나뉘는 걸로 보아 시공사측의 최종점검이 다 진행되지 않은것 같았습니다.
3.점검구
점검구는 보통 화장실 천장에 있습니다. 점검구를 열어 배관과 공조시설 등이 천장 앙카에 잘 결속되어 있는지, 이음부의 연결 상태는 양호한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4.분전반
인덕션, 시스템에어컨, 식기세척기는 각각 독립된 차단기로 용량를 빼줘서 전기 사용에 안전합니다. 보일러는 두개의 차단기로 용량을 나누어서 이 또한 안전합니다. 다만 이들을 가동할 수 없어 차단기와 해당 기구의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집안 전체의 조명은 차단기 하나로 묶었습니다. 모든 조명의 와트수를 더해서 220볼트로 나눠봐야 하지만, 제가 산수를 못해서... 예를들어 차단기 하나에 거실-주방-안방 조명을 묶고, 나머지 조명을 다른 차단기에 묶는 식으로 한다면 더 안심이 될 것 같기는 한데, 조명은 용량을 많이 잡아먹지 않아서 하나의 차단기로도 충분 했나봅니다. 그리고 iot 시스템에 일원화된 통제를 받기위해 하나의 차단기로 묶인 건지? 이것도 제가 내공이 부족해서... 짜박사의 박사학위를 반납해야겠네요.
5.샤시
집안에 있는 모든 샤시를 열었다 닫았다를 반복합니다. 문을 닫을 때 하단과 상단이 일정하게 끝부분에 닿는지 확인합니다. 전체적으로 샤시 시공은 잘 된 것 같습니다.
6.보일러, 가스관
6월이지만 사실상 한 여름이라 보일러는 전원확인하고 오래 틀지는 않았습니다. 보일러를 틀고 싱크대 하부장을 열고 싱크대 하부장 다리몰딩은 치워서 보일러 배관의 누수여부를 확인합니다. 오래 틀지는 않았던 터라 사실 누수를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보일러와 연통의 연결부가 잘 결속되어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의뢰인은 인덕션 2구, 가스레인지 1구 옵션을 선택하셨는데, 가스레인지 연결관이 아직 연결되지 않아 가스관 가동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7.싱크대 하부장 다리몰딩
보통 싱크대 하부장 다리 몰딩을 가구의 일부로 생각하는데 이건 열어봐야 합니다.딩을 가구의 일부로 생각하는데 이건 열어봐야 합니다. 각종 건설 폐기물들이 짱박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양호합니다. 그래도 그간에 시공할 때 발생한 먼지가 많으니 의뢰인에게 입주 청소할때 청소업체에게 이 부분도 꼼꼼히 청소시키라고 알려줬습니다.
그 밖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구, 문짝, 콘센트, 몰딩, 코킹 마감등은 의뢰인 부부께서 직접 체크하셨습니다.
잡생각>>
가스+인덕션, 싱크대 수전, 시스템에어컨 등 주거 생활에 가장 중요한 기능들을 시공 점검하지 않고 입주자 점검이라니? 이거 너무 소비자의 권리가 침해당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람마다 집을 점검하는 기준이 다르겠지만, 제 기준은 가스벨브에서의 작은 누수가 붙박이장 반쪽이 뽀개져있는 하자보다 훨씬 더 큰 하자라고 생각하고요, 싱크대 수전에서의 결함이 작동 여부가 샤시문이 잘 열리고 닫히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입주자분들의 중요한 안전과 생활편의를 담당하는 핵심기능 시설을 시험 가동할 수 있는 정도의 점검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